Quick Menu

Quick Menu

Quick Menu

커뮤니티

진료시간

  • 평일 08:30 ~ 19:30
  • 토요일 08:30 ~ 15:00
  • 공휴/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평일 물리치료는 19:30까지 입니다.

02-3663-9208

칼럼

  • 커뮤니티
  • 칼럼

제목

뻐근한 목 통증, 일시적 피로일까? 원인과 치료법


장시간 앉아서 일하고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하는 생활이 일상이 되면서 목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고개가 앞으로 빠지고 어깨가 말리는 '거북목·라운드 숄더' 자세가 반복되면 처음엔 단순한 뻐근함으로 시작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근육·인대가 긴장하고 척추 구조까지 변형되며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두통, 어지럼증, 팔 저림 같은 신경 증상이 동반돼 일상생활의 불편도 커집니다. 목 통증은 가벼운 질환처럼 보이지만, 방치하면 치료가 길어지기 때문에 조기 평가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목디스크: 신경을 압박하는 디스크 탈출
목뼈 사이의 디스크가 뒤로 밀려 신경을 누르는 상태를 '목디스크(경추 추간판 탈출증)'라고 합니다. 초기에는 뻐근함, 목·어깨 결림, 가벼운 손 저림 정도로 나타나지만, 진행되면 팔 힘이 약해지고 물건을 놓치거나 젓가락질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정밀 영상 검사를 통해 탈출 정도와 신경 압박 여부를 확인하고, 대부분은 약물·물리치료·도수치료 등 보존적 치료만으로 호전됩니다.

경추관협착증: 신경 통로가 좁아지면서 생기는 통증
노화, 반복된 미세 손상 등으로 뼈와 인대가 두꺼워지고 디스크가 닳으면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지는 '경추관협착증'이 발생합니다. 목의 통증보다 팔 저림·당김·힘 빠짐이 먼저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오래 걷거나 활동하면 증상이 심해지고 쉬면 완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약물치료, 신경 주위 약물 주입, 도수치료 등으로 충분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근막통증증후군: 근육 긴장으로 생기는 만성 통증
구조적 이상이 없어도 근육 자체가 과도하게 긴장해 통증을 만드는 질환이 '근막통증증후군'입니다. 흔히 말하는 "담이 들었다"는 상태가 여기에 해당하며, 목·어깨에 단단한 결절이 만져지고 눌렀을 때 통증이 주변으로 퍼지는 양상이 나타납니다. 반복되면 자세가 틀어지고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물리치료와 도수치료로 근육 긴장을 풀고 자세를 교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비수술 치료로 목 통증 관리하기
대부분의 목 통증은 수술 없이 호전이 가능합니다. 약물치료로 통증을 조절하고, 온열·전기·견인치료 등을 통해 염증과 근육 긴장을 완화합니다. 최근에는 체형 분석 장비를 활용해 목·어깨 불균형을 정확히 평가한 뒤, 도수치료로 관절 가동성을 회복하고 근육 균형을 바로잡는 치료가 많이 시행됩니다. 필요할 경우 신경 주변에 약물을 주입해 염증을 가라앉히는 주사 치료도 병행할 수 있으며, 단계적으로 시행하면 통증 완화뿐 아니라 재발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통증을 방치하면 안 되는 이유
목 통증은 단순 피로나 일시적 담으로 보기 쉽지만, 방치하면 디스크 탈출이나 신경 압박 등 구조적 문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정확한 진단과 맞춤형 치료로 비수술적으로 회복이 가능하므로, 통증이 지속되거나 팔 저림·두통 등 신경 증상이 동반될 경우 정형외과 전문의를 찾아 조기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